[Main] 188

[AVR]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RC카 제어

이전 대학교 때,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만들봤던 작품입니다.프로젝트 내용은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무선 RC카 제어입니다. RC카 제어는 ARM M4를 활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달 받아 제어되고센서부는 Atmega128을 활용하여 자이로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값을 수치화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전달해주는 역활을 합니다.로봇팔 프로젝트를 하기 전에 연습삼아서 만들었던 프로젝트입니다 ~ http://blog.naver.com/cok2529/70174106626

카테고리 없음 2015.10.02

[AVR] Door Lock 관련 Atmega128 Code 내용

이전에 대학교 때, 작성한 도어락 과제입니다. 기능들은 한 기판에 3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태 변수를 이용해서 순차적으로 이동 시키면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조금 난잡할지도 모르지만,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기능은 : adc 측정, 도어락, 계산기, 블루투스(RS-232통신), EEPROM 이용, Stepping Motor Control입니다. 소스 - #include #include #include /*************************************************************************/ // A// F B// G// E C// D //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u..

카테고리 없음 2015.10.02

[AVR] Timer / Counter

보통 몇 MHz에서 몇 ms 짜리의 타이머를 만들때, Prescaler를 결정하려 계산을 하실때, 이미 여러분들이 만들어 놓은 공식을 이용을 하실겁니다. 저도 처음엔 잘 이해가 안가서 데이타시트를 보면서 응용을 해 보았더니 아래와 같은 이해하기 쉬운, 공식아닌 공식이 생기더군요. 정밀한 타이머 만드시면서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문서에 대한 문의사항이나 교정요청은 wfellow at gmail dot com 으로 부탁드립니다.^^ 0) 공통사항. 이 문서의 모든 예를 16 MHz로 하겠습니다. a. 16 MHz(16000000 Hz) 경우 1 clock당 시간 = 1 / 16000000 = 0.0000000625 sec b. 1 sec 를 뛰려면 필요한 clock 갯수 = 1 / 0.0000..

카테고리 없음 2015.10.02

[Beckhoff-TwinCAT] Part #1 - Install

안녕하십니까 ? 드디어 S/W PLC 중 제가 사용하고 잇는 TwinCAT에 대한 정리를 위해 글을 작성해봅니다.많이 부족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자 ~ 일단 ! 설치를 먼저 해보겠습니다. 1. 언어를 선택한다. - Deutsch : 독일어( 참고로 Beck Hoff는 독일계 회사입니다) - Englisch : 영어 - 저는 영어를 선택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2. 뭐 컴퓨터에 TwinCAT을 설치한다고 하네요.. 일단 다음 ~~ !! 3. 약관에 동의 하겠습니까 ? 예 ~ 4.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입니다. - 별도로 설명드리지 않겠습니다. 이름과 회사 이름,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면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넘어 갑니..

맞춤법 #2

1. 어떻게 와 어떡해 어떡해 는 어떻게 해의 줄임말 ex) 요즈음 어떻게 지내 ? 오늘도 안 오면 어떡해 2. 담궜다가 아니라, 담갔다. 김치를 담궜어 가 아니라, 김치를 담갔어 3. 문을 잠궜다 가 아니라 잠갔다. 4. 돼와 되 는 해와 하로 바꿔보기 돼 -> 해, 되 -> 하안돼요 ? 안되요? 가 헷갈릴 땐, 안해요 ? 안하요 ? , 보면 안해요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안돼요가 맞다 5. 봬요, 뵈요뵈어요 준말이므로 봬요가 맞는말 !! 6. 서와 써 ->서자와 써방님 으로 외워라 서자(서 - 자격)와 써방(써-방법) 7. 맞추다와 맞히다 -> 비교하고 자리에 끼워 넣는 건 맞추다 -> 정답이나 과녁을 맞히다 .

[배움] 2015.04.16

맞춤법 #1

[ 맞 춤 법 ] - 본글을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조합한 글입니다. 1. '데' 와 '대' -> 데 : 직접 경험간 것 -> 대 : 남의 말을 대신 전할 때 (ex : 이건 나만 아는 비밀인데 ... 둘이 사귄대) 2. [대로]와 [데로] -> [대로] : ~하는 즉시 -> [데로] : 장소 (ex : 집에 도착하는 대로 전화할게 자기들끼리만 좋은 데로 여행을 갔어.) 3. 왠은 왠지에서 밖에 쓰이지 않는다. -> 왜인지를 줄인 왠지 말고 다른 단어는 모두 웬으로 사용

[배움] 2015.04.15